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창립 50주년 기념음악회
CAU SYMPHONY ORCHESTRA & CAU CHOIR
2025. 6. 2(월) 오후 7시 30분 롯데콘서트홀
주 최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주 관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예인예술기획
후 원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총동문회, (주)두산
입장권 : 전석 10,000원
예매처 : 롯데콘서트홀
https://www.lotteconcerthall.com/kor/Performance/ConcertDetails/260797
문 의 : 031-670-3285
Cond. 이종진
열정과 감성의 전문가, 정확한 해석력으로 감동의 음악을 끌어내는 마에스트로 이종진은 세계 최고의 명문 줄리어드 음악대학교와 일리노이 대학교 음악대학 대학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대학원을 장학생으로 공부하였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귀국 후 예술의 전당의 '오페라 페스티벌' 부지휘자를 시작으로, 대전시립교향악단과 인천시립교향악단의 부지휘자를 역임하였으며, KBS교향악단(70여 회), 서울시향, 부천시향, 코리안심포니, 전주시향, 광주시향, 수원시향, 대전시향, 부산시향, 대구시향, 인천시향, 원주시향, 울산시향, 포항시향 등 국내 최고의 오케스트라와 함께 대한민국 전국에서 공연하였으며, 정경화, 백건우, 조영창, 조수미, 신영옥, 김선욱, 손열음, 최나경 등 대한민국 최고의 연주자들과의 성공적인 공연으로 많은 찬사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한양대학교, 단국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서경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계원예고 등에 출강하여 교육자로서 후학양성에도 힘을 쓰기도 했다.
일본 동경 국립예술대학교 지휘과 연구원을 역임하였고 2010년부터 2013년까지 태국의 Silpakorn 국립대학교의 여름 음악캠프에서 초청 교수로 참가하여 학생들을 지도하기도 했다.
충북도립교향악단과 춘천시립교향악단의 예술감독 겸 상임지휘자를 역임하였다.
서울 예술의 전당에서 개최하는 교향악축제에 춘천시립교향악단의 지휘자 6년 재임 기간에 총 5회(4년 연속)를 참가하여 춘천시립교향악단의 위상을 한층 높였다는 호평을 얻고 있으며, 팬아시아 필하모니아의 예술감독으로 다양한 작품 연구와 발표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고, 오스트리아의 유로 신포니에타 비엔나(Euro Sinfonietta Wien)의 상임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다.
충북도립교향악단 상임지휘자 시절 충북의 모든 도, 시, 군을 찾아다니며 문화 소외지역에 고급문화를 발전시킨 공로로 2012년 7월 충청북도 도지사로부터 “함께하는 충북 대상” 문화예술 부분을 수상하였으며, 2020년 9월 춘천시립교향악단의 위상을 전국에 한층 끌어올린 공로로 강원도 도지사로부터 표창장을 수여 받기도 했다.
이탈리아 쿠세비츠키 국제지휘콩쿨의 심사위원으로 활동하였다.
現 중앙대학교 출강, 연세대학교 외래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객원교수,
팬아시아 필하모니아 예술감독
Sop. 임세경
*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솔리스트 전문연주자과정 졸업
* 이탈리아 비오티 국제성악콩쿨, 영국 BBC콩쿨 등 입상
* 리카르도 무티 지휘의 오페라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 데뷔
* 빈 슈타츠오퍼 극장, 라 스칼라 극장, 베로나 야외극장, 브레겐즈 오페라 페스티벌,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뮌헨 극장 등 주요 유럽 극장에서 활동
* 2015년 베로나 야외극장 오페라 [아이다] 102년 축제 역사상 한국인 최초 주역
現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성악전공 부교수
Bar. 정승기
*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 독일 칼스루에 음악대학 석사졸업
* 동아 음악 콩쿠르 1위, 대한민국 인재상 대통령상, 퀸소냐 국제음악콩쿠르 1위,
툴루즈 국제콩쿠르 1위, 빌바오 국제콩쿠르 1위, 오타비오 지노 국제콩쿠르 1위,
에른스트 헬프리거 국제콩쿠르 1위, 루치아노 파바로티 국제콩쿠르 2위 등
* 국립오페라단, 이탈리아 베니스 라페니체 극장, 나폴리 산카를로 극장,
프랑스 툴루즈 극장, 리옹 극장, 엑상프로방스 대극장, 노르웨이 오슬로 오페라하우스,
독일 슈투트가르트 극장, 하노버 극장 등 40여편의 오페라에서 500여회 주역 출연
* 독일 칼스루에 국립극장 전속주역가수 역임
現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성악전공 조교수
Vc. 주연선
* 미국 커티스 음악원 학사, 라이스 음대 석사 졸업
* Eastern Connecticut Symphony Competition 1위,
Sorantin International Competition 전체대상
* 예술의전당 아티스트로 선발, 아트실비아 실내악 오디션 대상 수상,
운파(임원식) 음악상 수상
*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서울시향, KBS교향악단, 부천필하모닉 등과 협연
* 바흐 무반주 첼로 전곡 모음곡(SONY) Romantique 첼로 소품집 발매(SONY),
콰르텟K의 죽음과 소녀, 하이든 앨범 발매(SONY), 첼리스타 첼로 앙상블 앨범 발매
* 서울시립교향악단 수석 역임, 미 Kansas City Symphony Associate Principal 역임
現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관현악전공 부교수
현대차정몽구장학재단 지도교수, 첼리스타 첼로 앙상블 수석
Vn. 김덕우
* 줄리어드 예비학교 졸업, 줄리어드 대학교 및 대학원 졸업(사사 강효, 전액장학금)
* 삼성문화재단, Charles Petschek Award 수상, 서울시장 표창 수상(2018)
* 서울시향, 코리안챔버 오케스트라, 부산시향, 경기필하모닉 등과 협연
* 뉴욕 카네기홀, 링컨센터, 워싱턴 케네디센터 등 세계 유수 저명 홀에서 독주회
* 서울시향 제2바이올린 수석, 서울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출강 및 겸임교수 역임
* 덴마크 라센 스트링 '일캐논 골드' 전속 모델
現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관현악전공 부교수
KCO(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 수석단원 및 콰르텟 21 멤버
Pf. 박진우
* 예원, 서울예고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조기졸업
* 독일 데트몰트음대 KA과정 졸업
* 독일 하노버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 ‘서울예고를 빛낸 음악인’상 수상
* 중앙음악콩쿨1위, 난파콩쿨대상, Pietro Argento 국제콩쿨 대상
* Taranto 오케스트라, KBS교향악단,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부산시립교향악단, 청주시립교향악단, 강남심포니, KCO 등
국내외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
現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 피아노전공 부교수
Comp. 김진만
* 제11회 서울 국제 프라이드 영화제 - 코리아 프라이드상 영화 ‘철수’ 음악감독
* 세종음악콩쿨 피아노부문 입상
* 인덕 합창경연대회 대상
* 중창선교단 가데스 제2회 정기연주회공연기획 및 음악총괄
* 종로시각장애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음악 편곡
現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과 석사과정 재학 중
사사 : 정나래
Comp. 이지수
* 중앙대학교 음악학부 작곡전공 졸업
* 조선일보신인음악회 당선
* Opus Artis Paris international composition award 1등상
現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과 석사과정 재학 중
사사 : 이재문
# PROGRAM
J. Brahms : Academic Festival Overture, Op. 80
김진만 : The Poetic Chain (작곡전공 공모전 당선곡)
이지수 : Wonderland (작곡전공 공모전 당선곡)
L.v. Beethoven : Triple Concerto in C Major, Op. 56
I. Allegro
Vn. 김덕우 Vc. 주연선 Pf. 박진우
G. Verdi : Udiste?… Mira di acerbe lagrime
Opera <Il Trovatore> 中
Sop. 임세경 Bar. 정승기
G. Verdi : Libiamo ne’ lieti calici (Brindisi)
Opera <La Traviata> 中
Sop. 임세경 Bar. 정승기
Choir. 중앙대학교 성악전공
- Intermission -
A. Dvorák : Symphony No. 9 in e minor, Op. 95 "From the New World"
I. Adagio – Allegro molto
II. Largo
III. Scherzo. Molto vivace
IV. Allegro con fuo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