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내주변검색

아카이브

광주시 동구 / 전시 [은암미술관] 장준하 서거 44주년 추모 판화전 - 이동환 : 가슴에 품은 돌베개

전시기간 2019-08-05~2019-09-02
전시장소
전시장주소 광주시 동구 서석로85번길 8-12 지도보기
오픈시간
관람료
기관명 은암미술관
문의
웹사이트
후원 O

상세내용


● 전 시 명 : 장준하 서거 44주년 추모 판화전 - 이동환 : 가슴에 품은 돌베개

● 전시기간 : 2019. 8. 5(월) - 9. 2(월)

● 전시장소 :  은암미술관 제1-2전시실

● 작가소개 : 이동환

● 오픈시간 : 월-토 10:00-17:00

● 관람요금 : 무료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 문의 : 062-226-6677

● 웹사이트 : http://eunam.org/

2f8161cb22862.jpg



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

-이동환의 ‘칼로 새긴’ 역사

소나영 | 은암미술관 학예연구사



우리는 아무리 ‘어두운 시대’라도 밝은 빛을 기대할 권리가 있다.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2019년은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은암미술관에서는 장준하 서거 44주기를 추모하며, 이동환 작가를 초대하여 <가슴에 새긴 돌베개>전을 마련했다.


한국화를 전공한 그가 목판화를 하게 된 것은 장준하 선생의 자전적 수필 『돌베개』를 읽고 나서 큰 감명을 받아 이 이야기를 목판에 새겨보겠다는 일념 하에 시작되었다. 그가 읽던 『돌베개』를 보면, 책 위에 바로 드로잉을 했던 흔적들이 보인다. 이 책을 읽으며 목판을 파지 않고는 못 배겼다는 그의 이야기가 실감이 난다.


광복군 3대 회고록 중 으뜸으로 꼽히는 『돌베개』는 1971년 장준하 선생이 『사상계』를 펴내던 사상사에서 처음 출간된 이래 여러 번 간행되었다. 사실 ‘돌베개’라는 말은 창세기 28절 10~15절에 나오는 야곱의 이야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장준하가 광복군이 되기 위해 일군을 탈출할 경우 아내에게 남기기로 한 암호였다고 전해진다.


역사의 한 장면 한 장면을 각인하듯 목판에 새기면서 그는 장준하 선생의 일대기를 따라간다. 한 판, 한 판 숨을 몰아쉬며, 함께 철조망을 뛰어넘고, 목 놓아 애국가를 부르며, 험준한 파촉령을 넘어 임시정부의 충칭으로 가는 여정, 그리고 의문의 죽음까지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그가 ‘붓’이 아닌 ‘칼’을 잡고 역사적 기록을 서사가 있는 목판화로 풀어낸 것은 의미 있는 시도이다. 30년 가까이 그려왔던 한국화의 '선'적인 요소는 목판화에서 명암이나 양감보다는 ‘선’을 중요시 하는 지점과 닿아 있다. 흑과 백으로 나뉘는 그의 힘찬 '선'은 굵고 간결하지만, 선 하나에 인물의 표정과 몸짓, 순간의 분위기를 함축하며 목판 위에서 생동한다.


목판작업을 할 때 그는 나름의 규칙을 가지고자 했다. 예를 들어 200여 장면을 가로가 아닌 세로로 긴 틀에 새겨 넣자는 것이었다. 각각의 장면을 새길 때도 어떤 제한된 상황 안에서 다양한 시점과 매번 다른 연출을 시도했다. 장면 장면에서 역동성이 느껴지는 이유일 것이다.


그는 어둠을 삼키고 있는 시대를 사는 우리들의 문제들을 직시하고 사유하며, 끊임없이 질문한다. 그동안 그가 그려온 것들은 ‘어둠’으로 대변되는 시대의 모순과 사회의 부조리 속에서 갈 길을 잃은 사람들과 상실적 풍경들이었다.


현재 전시되는 작품은 아니지만 <황홀과 절망(2012)>을 보면 시대의 별이 떨어지고 후세대를 상징하는 아이를 업은 남자는 그것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 그는 그렇게 우리가 목도하고 있는 동시대의 절망적인 상황을 담담하게 담아내고 있다. ‘세상을 삐딱하게 보는 재주가 있다’는 그의 말처럼, 세상을 보는 통찰력과 정치 사회에 대한 비판은 한국화를 그릴 때에 있어서도 늘 담지하고 있는 것이었다.


이렇듯 회화에서는 세상을 바라보는 '나'의 시선, '나'의 이야기가 중점이 된다면, 이제 목판화에서는 '우리'가 바라보는 ‘우리 시대’의 이야기를 담는 것으로 전환된다. 그는 보다 공적인 시선을 가지고 역사를 기록하고 싶었다고 말한다.


이동환의 판화는 80~90년대 이후 명맥이 흐려진 '목판화'라는 장르를 다시 소환하는 동시에, 동시대 목판화가 어떻게 존재할 것인가에 대한 답이다.


어떤 이는 글로, 어떤 이는 사진으로 기록하지만, 이동환 작가는 자신의 손끝과 칼끝으로 역사적 진실을 목판에 기록한다. 그의 각인하는 행위는 우리 시대의 역사를 기록하고 바로 새긴다는 의미일 것이다.


554510a5a9ea2.jpg

469b6110a1c04.jpg

목록